top of page

김서방 찾기  Finding Kim Seo Bang

WHERE IS KIM SEO BANG

   The story of a world is not like a book story that can be done when the cover is closed. It keeps go on even if we want it or not. In the famous children book 'Where’s Waldo', a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Waldo and all the numerous random people fades away immediately when the book is closed. However, In the world, the relationship can’t be just folded. We as one of the Waldoes in real life always communicate, share feelings, finding ourselves among numerous relationship we make with random people. Every relationship has a potential to be an important event and it carves itself to my stories which become histories. 

   Artist Sun Kim is on her journey to 'Find Mr. Kim Seo-Bang'. For her ‘Kim Seo-Bang’ is Waldo. An old Korean-saying 'Finding Kim Seo-Bang in Seoul' means it is hard to find a specific person because Kim is a very common last name and there’s so many Kim living in Seoul. At the same time it can be interpreted as it is hard to distinguish who is you and who is me. In her paintings/artworks, All the Kims are on their journey to find their Kim Seo-bang. 

   Since 2014, Sun Kim started her 'Mr. Kim' series. The series is about the images of ourselves, who are thrown into the world and to live. The old traditional painting ‘Bancha-do’ and ‘Hangcha-do’ reminded her an old children’s game book ‘Where’s Waldo’. So she blended her ideas to portrait the world. Though, To begin and to bring all the Mr. Kim to her project world, she needed a space they could exist.

She had been searching the right places and in March of 2014, while she was still sketching Gwanghwamun Square, the Sewol Ferry disaster occurred. (The Sewol Ferry incident was a marine accident. The Ferry that departed Incheon port on April 16th sank while on its way to Jeju-island and almost 300 students and people were drowned) At that moment she has encountered a random single place becoming a space that could hold a huge event.

 “When there is police and protesters’ tents that come into a normal square. Suddenly I can feel the powerful energy that space experienced about it.”(Artist's note)

   Now, Gwanghwamun Square absorbed one another meaning. The ‘space’ of Aseptic Room becomes a ‘place’ where the you can reflect an incident that had occurred. Since then, the artist has drawn the event of 'Pope Francisco visiting to Korea' as <Francisco Pope's Parade> (2014), 'Mers-cov virus outbreak' to <Mers-cov and Super Chapel> (2015), and 'Inter-Korean division issue' became <Demilitarized Zone Parade> (2015). Now, She’s been drawing the space using an event. These works can be described as a great narrative that shows how we, or myself, can exist in a huge space that contains events rather than simply portraying individual human (Kim Seo-Bang) aspects.

   Starting 2017, she has been digging into the subject: 'Cleaning and Arrangement'. As the project develops, her concept about an actual place changes into a virtual site. She connects the 'Cleaning (sweeping)' with the 'creating a space' and make a symbolic 'C'(half of the circle). 'Arrangement' is described as a hashtag '#', which looks like a way of dividing farmland as like Chinese character Field(田). A physically existing place has transformed into a virtual and symbolic site. The concept of changing spaces have given ideas for installations art such as <Secret Base> (2018) or <Shelving of Urns> (2018). It leads to another paintings <Cleaning Parade>(2018) and <#whatifpolarbearlivenextdoor>(2018), an extension of Where’s Kim Seobang series. The feature to focus on these two paintings is that she has captured the landscape of the world, to show a miniature of the world in created virtual site. <Cleaning Parade>, which reveals the systemic problem of the garbage disposal and people who are part of it, or oddly organized world that divided into hashtags(#) to reveal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pollution <#whatifpolarbearlivesnextdoor>are all virtual areas that do not exist in the world. Her artwork has started from drawing real spaces such as Gwanghwamun Square, Cheonggye Stream, and the Demilitarized Zone(DMZ), and into drawing the bases of real events such as 'Mers-cov virus outbreaks' with imaginary space, and now she is drawing through symbols and events of subjects such as ‘Cleaning' and also ‘Arrangment’ It clearly shows that her work has moved to draw conceptual spaces.

김서방 찾기 

 

   세상은 덮어 버리면 이야기가 끝나는 책이 아니다. 세상의 이야기는 우리가 원하든 원하지 않든 계속 된다. 

유명한 어린이 책인 ‘월리를 찾아라’를 보면, 월리와 월리가 아닌 사람들의 관계는 월리를 찾고 책을 덮는 순간 끝이 나고 만다. 하지만 현실에서 이 관계는 끝나지 않는다. 현실 속 월리는 세상 사람들과 끊임없이 대화하고, 감정을 나누고, 자신을 알아간다. 

  2014년 작가는 김서방을 찾는 여행에 올랐다. 작가에게 ‘김서방’은 ‘월리’이기도 하다. 월리를 구별하는 어려움이 마치 특정 인물을 찾기 어렵다는 한국 속담 ‘서울에서 김서방 찾기’를 떠올리게 만들기 때문이다. 작가는 동양화의 전통적 그림인 반차도(班次圖; 궁중의 행사 장면을 그린 그림)나 행차도(行幸圖; 왕실의 행차 장면을 그린 그림)를 보고 『월리를 찾아라』의 아이디어를 섞어 오늘날의 풍경을 그리기로 한다. 작업을 시작하면서, 수 많은 김서방을 그리기 위해서는 그들이 존재할 공간이 필요했다. 그래서 공간을 찾아다니다 광화문 광장을 스케치 하게되는데 바로 그 기간에 ‘세월호 사건’이 발생한다. 이 사건으로 작가는 ‘공간’이 어떠한 ‘사건’으로 전환되는 경험을 하게 된다.

 

“보통의 광장에 많은 경찰 인력과 천막 등이 생깁니다. 그때 저는 공간이 주는 어떤 강력한 에너지에 대해 생각하게 됩니다.”(작가의 말)

 

   이제 광화문 광장은 또 다른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무균실의 ‘공간(space)’은 발생한 사건을 반영 할수 있는 ‘장소(place)’가 되었다. 작가는 그 이후 ‘프란치스코 교황 한국 방문’이라는 사건을 <교황행차도>(2014)로 그렸고, ‘메르스 사태’를 <메르스와 슈퍼채플>(2015)로, ‘남북 분단 문제’를 <비무장지대 행차도>(2015)로 그렸다. 이제 작가는 사건으로 공간을 그리게 된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단순히 공간에 작게 묘사된 개개인의 모습을 보여주었다고 하기 보다는, 사건을 품고 있는 거대한 공간에서 우리 혹은 나 자신이 어떻게 존재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거대 서사라 할수 있다.

  <김서방을 찾아라> 연작을 통해 작가는 계속해서 세계로 내던져진 우리의 자화상을 보여 준다. 그리고 이 세계는 

공간과 사건이 얽혀있는 이야기가 있는 장소에서 점차 작가의 주제로 창조된 가상의 지역으로 변모 해간다. 

  작가는 2017년부터 ‘정리 정돈’이라는 주제에 천착한다. 주제를 시작하면서 작가는 장소(place)에서 가상의 지역(site)으로 개념적 변화를 보인다. 작가는 ‘청소(정리)’를 ‘빈 공간을 만드는 행위’와 연결하여 상징적인 기호 ‘C’를 구상하기도 하고, ‘정돈’을 농경지나 구획을 나누는 모양인 한자 밭 전(田)을 연상 시키는 해쉬태그(hashtag) ‘#’로 설명하기도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물질적이고 실존하는 장소를 가상적이고 상징적인 공간(site)으로 변모시켜 나갔다. 이러한 변화된 공간 개념은 <비밀기지>(2018)나 <유골단지를 위한 선반>(2018) 등과 같은 개념적인 설치작업을 등장하게 한 계기가 된 듯하다. 더불어 기존의 ‘김서방 찾기’ 작업과 연장선으로 보이는 <청소 행차도>(2018)나 <#만약 북극곰이 내 옆집에 산다면>(2018)과 같은 동양화 작업을 이끌어낸 것으로 보인다. 이 두 동양화 작품에서 주목해야 할 특징은 작가가 가상적 지역을 창조하여 세상의 축소판을 보여주려는 듯이, 그곳에 세상의 풍경을 담았다는 사실이다. 쓰레기 처리의 문제점과 시스템화 된 사람들을 드러낸 <청소 행차도>나, 기묘하게 구성된 우리 세계를 해시태그(#)로 구획화하여 환경오염의 심각성을 압축적으로 드러낸 <#만약 북극곰이 내 옆집에 산다면>은 어느 곳에도 존재하지 않는 작가가 창조한 가상적 지역이다. 이것은 광화문 광장이나 청계천, 비무장지대(DMZ) 등 실재 공간을 그리는 것을 시작으로 하여, ‘메르스 바이러스 사태’와 같은 실재 사건을 가상의 공간으로, 그리고 ‘청소’와 같은 주제의 상징과 사건을 바탕으로한 개념적 공간으로 옮겨 왔음을 뚜렷이 보여 준다. 

bottom of page